가로세로 길이가 같은 정사각 프레임은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으므로 시선을 자연적으로 중앙부로 끌어준다.
그리고 몰입도를 매우 크게 높여주므로 주제를 강조해 준다.
배경이 필요 없는 사진이나 단조로운 배경에 효과를 준다.
엄숙하거나 딱딱한 느낌이 들기도 하나 잘 사용할 경우
매우 세련된 사진을 표현해 준다.
가로세로 길이가 같은 정사각 프레임은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으므로 시선을 자연적으로 중앙부로 끌어준다.
그리고 몰입도를 매우 크게 높여주므로 주제를 강조해 준다.
배경이 필요 없는 사진이나 단조로운 배경에 효과를 준다.
엄숙하거나 딱딱한 느낌이 들기도 하나 잘 사용할 경우
매우 세련된 사진을 표현해 준다.
세로프레임은 사실 익숙하지 않다.
사진의 기본 포맨은 가로 프레임이기 때문에 낯설고
카메라를 일부러 돌려 촬영해야 되므로 불편하게 느껴진다.
게다가 가로 폭이 좁아서 두 눈이 보는 것보다 훨씬더 적은 부분만을 보여주게 된다.
좌우의 정보가 제한되나 시선을 중앙으로 집중시켜 준다.
수직선이 주는 동적느낌과 긴장감도 준다.
높은 건물이나 인물처럼 세로로 긴 형태의 피사체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좋다.
하늘 높이 솟은 건물 그리고 비친 반영을 세로 프레임으로 담아냈다.
세로로 긴 피사체는 세로 프레임이 좋다.
HDR 효과 연출하기 (후보정 적용, 촬영 필터 적용)
HDR은 (High Dynamic Range) 말 그대로 사진을 찍을 때 노출 영역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전부 골고루 디테일까지 나타내도록 찍은 기법이다.
실제 찍는 장소에 있는 빛의 영역의 Range로, 빛이 어둡고 밝은 영역의 너비는 그 영역을
전부 카메라에 담기는 벅차다.
그 예로 실제 있는 빛의 영역을 30cm 막대자에 비유한다.
카메라가 표현하는 영역을 13cm의 막대자라면 한 장의 사진 안에 모두 레인지의 영역의 빛을 담기는 어렵다.
HDR 사진은 서로 다른 노출값으로 찍힌 사진을 합성하여 인조적으로 한 장 안에 넣어 각각 밝고 어두운 영역 전부를
디테일과 같이 표현하여 준다.
HDR 사진의 효과강도가 너무 심할 경우 비현실적인 사진이 될 수가 있다. 리터칭으로 HDR 효과를 부여할 시
효과의 강약이 너무 심하게 되지 않도록 조절한다.
HDR로 찍는 법
스마트폰을 열고 카메라앱을 켜고 상단부를 보면 "HDR"이란 표시를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서 HDR을 선택하고 "자동","켬","끔" 이란 선택이 나타난다.
촬영 전 "자동" 또는 "켬"을 선택 시 HDR 촬영이 가능하다.
집안에서 인물이나 화분 등을 찍을 때엔 우선 조명 위치와 각, 그리고 조명 때문에 생기는 그림자 위치 등을
고려하여 찍으면 조금 더 좋은 사진이 된다.
일반모드의 사진은 디테일이 제대로 안 살아나지만
HDR 모드의 사진은 옷의 직물 조직이나 음영 디테일이 전부 표현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듯 HDR 모드 촬영 시 날아간 명부나 어두워져서 뭉개진 부분들의 디테일을 살려주는데 좋은 촬영 기법이다.
스마트폰에서는 촬영 전 HDR세팅으로 간단히 찍을 수 있다.
특히나 빛의 밝음과 어두움의 차이가 큰 상황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