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온한 달빛 ● :: [한국사] 신라

반응형

 

 

 

신라

 

 

라는 박혁거세에 의해 건국되었다고 전해지며 6세기 초부터 중앙집권 국가로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내물옹 때부터 김씨의 왕위 세습이 확립되고 왕의 칭호도 왕권의 강화를 나타내는 데 수장이란 뜻의 [마립간]이라 불렀다.

지중왕 때 우산국(울릉도)를 복속하고 국호를 신라, 왕호를 마립간에서 왕으로 바꾸었으며, 법흥왕에 이르러 불교를 공인하고(527), 율령을 반포하였다.

진흥왕 때는 화랑도 공인, 국사 편찬, 황룡사 창건, 우륵에 의한 가야금 보급 등 안으로는 문화의 융성을 꾀하였고, 밖으로는 한강 유역을 확보하는 부흥기를 맞이하였다.

 

 

 신라 관련 주요 키워드

 (1) 골품제도 : 신라시대 지배계급(귀족) 사이에 존재한 신부제도, 골품제도는 골제와 두품재를 합친 것으로 성골과 진골로 구성되는 왕족가 육두품 이하 5.4두품 등의 일바 귀족이 있었다. 이러한 골품제도는 관등조직과도 일정한 관계를 갖게 되어, 신분적 한계에 반발한 육두품(득난) 계열은 불교나 학계로 진출을 꾀하게 되었다.

성골은 28대 진덕여왕으로 끊기고 29대 무열왕부터는 진골이 대를 이었다.

 

(2) 독서삼품과 : 신라 제 38대 원성왕 4년(788)에 국학에 설치한 일종의 관리등용법, 종래에는 화랑이나 귀족의 자제들을 추천하거나 무예 등을 통하여 인재를 등용하였으나 원성왕 떄부터는 국학의 여러 학생들에게 돇ㄹ써 시험을보게 하여 그 성적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채용하였다.

 

(3) 지리도참설 : 신라 말기에 도선이 중국에서 받아들인 지리학으로, 인문 지리적인 인식과 예언적인 도참 신앙이 결부된 학설, 이를테면, 반도 중심부에 위치한 송악이 나라의 수도가 될 만한 길지라든지, 각 지방에도 그 지세에 따라 좋고 나쁜 곳이 있다는 등 왕궁이나 사찰의 건축, 분묘의 자리를 보는 것이다.이는 우리나라의 수도를 중앙권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함과 동시에, 신라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4) 왕오천축국전 : 신라 성덕왕 떄 승려 혜초(704~787)가 해로를 통해 인도로 건너가 각지를 순례하고 육로로 중앙아시아를 거쳐 727년에 당에 돌아와 쓴 고대 오천축국을 답사한 여행기,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펠리오 교수가 중국 감숙성의 돈황굴에서 두권을 발견, 현재 파리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5)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세계 최고의 목판 인쇄본. 두루마리 1축, 8cm x 6.2m 로 국립중앙바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66년 10월 13일 경주 불국사 석가탑의 해체 복원공사가 진행되던 중 탑신부 2층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되었다. 다란경의 출간 연대는 통일신라 때인 700년대 초에서 751년 사이로 추정된다(국보 제 126호)

 

(6) 상원사 동종 : 상원사에 있는 동종으로 높이 167cm, 지름 91cm. 현존하는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범종으로 음향이 맑고 깨끗하다. 주성 연대는 725년(신라 성덕왕 24)이다(국보 제 36호).

 

(7) 성덕대왕 신종 : 신라시대의 종으로 에밀레종이라고도 하며 봉덕사에 달았기 떄문에 봉덕사종이라고도 부른다. 높이 3.7m, 입지름 2.27m, 두게가 11~25cm에 이르는

 우리나라 최대의 거종으로 비처상과 용두 조각으로 유명하다. 1915년부터 경주박물관에 보관 중이다(국보 제29호)

 

 

 

반응형
Posted by 니오2
,